728x90

대멸종 2

지구온난화로 인한 인류의 멸종

이대로가면 인류가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될까요? 이 질문에 과학적인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얼마나 많은 탄소배출을 하고 있고 탄소배출의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많은 경제학자들과 과학자들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카야 방정식 (일본의 경제학자) 탄소 배출량 = 인구수 x 1인당 소득 x 에너지비요율성 x 탄소발자국 상당히 신빙성이 있는 공식이기 때문에 실제 미래기후를 시뮬레이션 할때 사용을 하고있습니다. 탄소 배출량을 결정하는 4가지 요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인구수인구수 증가 ▷ 탄소 배출량 증가인간이 먹고 사는 식량을 만드는데 많은 탄소를 사용인구수는 직접적인 탄소 배출량의 요인연도별 세계 인구 증가 수인구는 1960년대 이후로 급격히 증가해왔다. 2100년경, 100억..

에너지와 환경 2023.04.29

대멸종 사건들을 통해 알수 있는 기후변화의 두 가지 핵심원리

기후변화 과학의 발전으로 우리는 과거 지구 온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큰폭으로 급변해 온 지구의 온도 5억년 전부터 지금까지 지구의 온도 변화 30도 이상부터 10도까지 아주 큰 폭의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상태를 보면 14도 정도 입니다. 지구온난화라고 하지만 지금 우리는 지구 역사적으로 봤을 때 추운 시기에 살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류는 추위에 강한 생명체이고 더운 지구에서는 오히려 견디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빨간색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지구에 얼음이 하나 없는 시기입니다. 파란색부분은 지구에 빙하가 존재하는 시기입니다. 무엇이 지구의 온도를 이렇게 급변하게 했을까? 지금까지 지구는 5번의 대멸종이 있었습니다. 위 그래프에는 ..

에너지와 환경 202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