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와 환경

기후위기의 본질

율공 2023. 4. 17. 10:25
728x90

기후위기의 본질에 대해 알아야 대처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상 기후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는 이상기후 소식에 놀랄때도 있고 남의 일이 아니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2018년  8월 서울의 날씨

2018년 우리나라의 폭염은 111년만에 찾아온 강력한 폭염으로 무려 1달이 넘는 기간동안 우리나라 국민들이 폭염에 힘들어 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캐나다에서 심한 고온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폭염 현상들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드디어 올것이 왔구나'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 과거에 기후 변화 라는 말을 사용했지만 기후위기라는 표현으로 경각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 위기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합니다.
  • 기후 위기의 본질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최근 서점에서 기후위기에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6도의 멸종
    • 지구가 1도씩 올라갈 때마다 우리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를 다룬 책
  • 지구 온난화에 속지마라
    • 지구 온난화는 사기이며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의 책
  •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지구온난화는 진행되고 있지만 지구온난화에 대응하는 방식이 잘못됐다 라는 내용의 책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기후위기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이 있습니다.

환경운동가의 시각, 과학자들의 시각 또한 대립되고 있기 때문애 우리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Q. 지구 곳곳의 이상기후 소식,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이대로 가면 인류는 비극적 종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 기후위기는 지나치게 과장되었다. 지구온난화는 사기극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도 대립되고 있습니다.

  • 2가지 답변 모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구온난화는 사기가 아닌 진실이라는 것은 이전에도 여러번 설명이 됐고 과학자들은 더더욱 열심히 밝혀내고 있습니다.
  • 그렇다고 해서 이대로라면 멸종한다는 것은 과장된 내용일 수 있습니다.
  • 과학자들의 예측은 2100년 즈음 산업형멱 기준으로 지구온도는 약 3도 정도 증가할 것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멸종' 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은 5~6도 정도 상승했을때 발생할 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

너무 지나치게 지구온난화를 과장하면 희망을 잃고 대처하지 않아 더 큰 위기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미래 기후 정보에 대한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Q. 산업혁명 이후 이산화탄소는 0.012%, 지구 온도는 1도 증가했다. 큰 문제일까?

  • 이 숫자들이 매우 작은 숫자라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일교차가 큰 날은 20도씩 차이가 나기도 하는 1도라는 것은 매우 작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그러다보니 일반인들에게 전혀 와닿지 않는 형태의 질문들은 문제가 있습니다.

 

※ 이산화 탄소 0.012% 증가

수치는 매우 작게 느껴지지만

"연평균 이산화탄소 농도 400ppm 도달"

과 같은 뉴스기사를 보면 작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ppm 은 1 / 1000000 을 의미하며 산업혁명 이전 280ppm 에서 최근 400ppm 이 되면서 그 차이는 120ppm 입니다.

이 120ppm 을 퍼센트로 바꾸면 0.012% 입니다.

수치로 따져보면 작지만 과학자들의 증명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0.012% 의 증가는 온실효과로 지구의 온도를 높이는데

*히로시마 원자폭탄이 1초에 10개 이상 폭발하는 위력으로 지구를 덥히는 에너지를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생각하니 많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피상적인 수치들에 집중하기 보다는 우리가 원리를 이해하고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하나하나 파헤쳐보는 것이 기후위기 대처법을 생각해내는 중요한 원동력이 됩니다.

 

 지구온도 1도에 대한 분석

원자폭탄이 1초에 10개씩 폭발하는 위력인데 1도 밖에 안올라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지구를 덥히는 많은 에너지를 흡수해주는 바다가 있기 때문입니다.

온실효과로 생성된 열에너지를 바다가 93% 정도 흡수해줍니다.

5% 정도는 얼음을 녹이는데 쓰이고

1~2% 정도만 지구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설명을 들으면 생각이 또 많이 달라집니다.

 

우리는 제대로 이해하고 제대로 아는 것이 지구온난화에 대처할 수 있는 첫걸음 입니다.

728x90